본문 바로가기
Insight

2023년 유튜브 수익구조 업데이트 정리

by 포토크리에이터 Bear 2023. 2. 4.

  올해부터 유튜브를 시작하실 분이 있으신가요? 이미 하고 있는 분도 있을거라고 봅니다. 저도 올해부터 유튜브를 준비 중인데요. 언젠가 성과가 나오면 블로그에서도 다룰 수 있으면 좋겠네요.

 

  진지하게 유튜브를 공부하며 알게된 내용들이 있어서 공유드리기 위해 준비했습니다. 2023년, 올해부터 바뀌는 유튜브의 수익 구조 업데이트를 정리해봤습니다.

 

 

1. 유튜브 쇼츠 수익 구조 개선

  숏폼 생태계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던 틱톡을 필두로 인스타그램에선 릴스를 내놓고, 유튜브에서도 이에 맞춰 2021년부터 쇼츠를 출시했습니다. 이제 쇼츠는 유튜브 생태계에서 자리를 확고히 잡았습니다. 쇼츠만 감상하는 이용자도 생기고 쇼츠 영상만 제작하는 유튜버도 연이어 등장했습니다. 새로운 포맷의 구축을 위해 유튜브에서도 쇼츠를 많이 밀어주고 있습니다. 이제 유튜브를 하려면 쇼츠는 필수라고 여겨지는 상황입니다.

 

  그런 대세 콘텐츠인 쇼츠에도 단점이 있었으니, 바로 수익화의 방법이 한정적이라는 것입니다. 기존에 쇼츠는 ‘쇼츠 펀딩’이라는 시스템으로 수익 배분을 했습니다. 쇼츠 펀딩은 유튜브에서 정해놓은 예산 안에서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유튜버들에게 수익을 나눠주는 방식입니다. 틱톡의 수익 구조가 이렇습니다. 이 방식의 단점은 생산자에 비해 애초에 예산이 크지도 않고, 쇼츠 영상을 올리는 유튜버의 숫자가 늘어날 수록 수익은 더욱 줄어듭니다.

 

 

  이제 쇼츠에도 광고가 들어가고 여기서 발생한 수익을 유튜버들에게 배분하는 방식으로 정책이 업데이트됩니다. 당장 이번 2월부터 유튜브 파트너스를 기준으로 쇼츠 영상으로 수익을 낼 수 있게 됐습니다.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은 특정 그룹으로 영상을 묶은 후에 그 그룹의 쇼츠 영상 중간마다 광고가 들어갑니다. 그렇게 발생한 수익은 제일 먼저 음반 저작권 회사에 들어갑니다. 그러고 남은 수익의 45%는 해당 그룹의 유튜버들에게 지급됩니다. 같은 그룹에서도 조회수에 따라 차등 지급이 됩니다. 음반사에 수익이 돌아가고 그 중에 45%를 나눠서 분배한다면 생각보다 좋은 수익률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쇼츠 영상은 스마트폰으로도 간단히 만들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은 큰 메리트라고 봅니다.

 

  추가로 쇼츠에도 슈퍼땡스, 슈퍼챗, 슈퍼 스티커 등 후원 기능이 도입됩니다. 기존엔 긴 영상에서만 적용되던 ‘후원 받기’ 기능을 쇼츠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슈펴 땡스 등의 후원 기능은 발생한 수익의 70%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광고 수익 외에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창구가 늘어났습니다. 쇼츠 유튜버들에게 더없이 좋은 업데이트라고 생각합니다. 같은 숏폼인 틱톡과 릴스도 수익 구조가 업데이트 되었으면 좋겠네요.

 

 

 

2. 유튜브 파트너스 기준 추가

  유튜브에 영상을 올렸다고 해서 무조건 수익이 발생하는 건 아니죠? 바로 구글로부터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는 ‘유튜브 파트너스’로 등록해야 합니다. 유튜브 파트너스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독자 1,000명
  2. 공개 동영상의 유효 시청 시간 4,000시간(채널 개설 후 12개월간)

  이 두 기준을 충족해야 유튜브 파트너스 등록이 가능했습니다. 쇼츠가 활성화 된 현재에는 기준이 한 가지 더 추가됩니다. ‘공개 쇼츠 조회수 1,000만회(채널 개설 후 3개월간)’ 입니다. 3개월간 영상이 1,000만번 재생되어야 한다니 까마득해 보이기도 하네요. 하지만 또다른 조건이 하나 추가됐다는 것은 분명 좋은 소식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확실히 해야 할 부분은 쇼츠를 통해 유튜브 파트너스 되기가 쉬어졌다는 게 아니라 방법이 한 가지 더 생겼다는 것입니다.

 

  또 한 가지 변화점은 앞서 설명한 ‘후원 받기’ 기능을 파트너스가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게 업데이트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파트너스 등록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유튜브를 수익화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 것입니다.

 

 

 

 

3. 크리에이터 뮤직 신설

  유튜브 영상 제작 시에 음악 저작권이 가장 신경 쓰이는 부분일 것입니다. 영상에 어울리는 음악을 사용하려고 하면 유명 가수의 곡이거나 저작권자가 상업적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 곡일 수 있습니다. 저작권 침해 신고가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될 수 있기 때문에 유튜브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는 많은 주의가 요구됐습니다.

 

  하지만 이제 유튜브에 넣을 음악을 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제 유튜브 파트너스는 ‘크리에이터 뮤직’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음악 라이선스를 구매하거나 저작권자와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하면 음악을 선불로 구매해서 광고 수익을 모두 받을 것인지, 후불제로 광고 수익을 영상에 스인 음악의 저작권자와 분배하는 방식입니다. 이제 저작권 침해 신고를 받고 영상을 내리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약

  1. 쇼츠 영상 사이마다 광고가 들어가고 이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2. 채널 개설 3개월간 쇼츠 조회수 1,000만회를 기록하면 유튜브 파트너스로 등록할 수 있다.
    후원 기능을 파트너스가 아니어도 이용할 수 있다.
  3. 크리에이터 뮤직을 통해 정식으로 음악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2023년 유튜브 업데이트 내용을 마칩니다. 광고 수익은 이미 개선된 상황이고, 저는 크리에이터 뮤직이 반갑네요. 줄곧 미뤄왔던 유튜브를 올해부턴 열심히 해봐야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 언스플래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