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33

제 10차 문화예술 세계총회 한국 유치 확정 2025년 제 10차 문화예술 세계총회를 한국으로 유치한다는 소식입니다. 문화예술 세계총회는 IFACCA(국제 예술위원회 및 문화기관 연합)에서 정회원 기관과 협력 추진하는 국제행사로, 전 세계 문화, 예술 산업 및 관련 분야의 주요 정책 입안자, 정부 대표자 등 정상급 인사와 석학, 예술가들이 참석하여 문화정책을 공유하고 최신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병국 위원장은 “예술위 설립 50주년을 맞이하며 향후 50년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문화예술 세계총회 유치를 확정하게 되어 더욱 의미가 깊다. 전 세계 국가들과 공동의 지식 생산을 통해 문화예술의 지평을 확장하고, 실천적 결과를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2025년 5월 개최 예정인 .. 2024. 1. 31.
노션 캘린더 출시 - 구글 캘린더를 대체할 수 있을까? 올인원 협업툴 '노션'에서 별도 앱인 '노션 캘린더'를 출시했습니다. 지난 2022년 노션이 인수한 캘린더 앱인 Cron의 시스템을 적용하여 이번 노션 캘린더가 만들어졌습니다. 기존엔 노션에서 보조적인 기능이었던 캘린더를 뛰어넘어 시간 단위의 관리까지 노션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으로 보여집니다. 노션 캘린더는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구글 캘린더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노션의 캘린더 앱을 이용해보세요. https://www.notion.so/ko-kr/product/calendar 2024. 1. 22.
영화 '서울의 봄' 500만 돌파 하반기 화제작 '서울의 봄'이 개봉 2주 만에 관객수 5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올해 개봉한 한국 영화 중 가장 빠른 증가세로 기록을 경신 중이며, 팬데믹 이후 겨울에 개봉한 한국 영화 중 유일하게 500만 관객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과거 흥행작들인 '광해 : 왕이 된 남자'와 '국제시장' 보다 빠른 속도입니다. '서울의 봄'은 얼어붙었던 극장가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천만 영화로 등극할지 기대가 모여지고 있습니다. 2023. 12. 6.
안젤리나 졸리가 바스키아의 스튜디오를 인수했다 창작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목적이다 배우 '안젤리나 졸리(Angelina Jolie)'가 '앤디 워홀(Andy Warhol)'과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의 스튜디오를 인수했습니다. 맨해튼 그레이트 존스 가 57번지에 위치한 해당 건물은 안젤리나 졸리의 크리에이티브 레이블 '아뜰리에 졸리(Atelier Jolie)'를 통한 상업적 용도로 8년간 임대한다고 합니다. 또한 건물에 남아있는 바스키아의 흔적들은 그 느낌을 유지할 것이라고 합니다. 2023. 7. 14.
체코의 문호 밀란 쿤데라 별세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작가 7월 12일, 체코의 문호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가 사망했습니다. 1967년 소설 ‘농담’ 발표 이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주화 운동 ‘프라하의 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핍박에 시달렸고, 이후 프랑스로 망명해 그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대표작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발표했는데, 이 작품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작가로 자리매김합니다. 그 뒤에도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지만, 외부에의 노출을 극도로 꺼려왔기에 문학 활동 외 그의 자취를 쫓기란 쉽지 않았는데요. 밀란 쿤데라의 물품을 소장하고 있는 체코의 모라비안 도서관(MZK) 대변인은 그가 오랜 투병 끝에 파리의 자택에서 눈을 감았다고 밝혔습니다. 1979년 체코슬로바.. 2023. 7. 13.
마지막 탐사보도의 여정, 내셔널지오그래픽 폐간 노란 테두리 속에 담았던 기록 135년 역사의 탐사잡지 '내셔널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맞아 지면 출판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얼마 전까지 남아있던 19명의 기자를 전원 해고하면서 인쇄 잡지 사업의 끝을 알렸습니다. 다만 매체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프리랜서 기자 체제로 전환하고 웹사이트와 소셜미디어,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채널은 계속 운영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2023. 7. 13.
다시 돌아온 세계적인 아트 페어 '프리즈 서울 2023' 미술사를 바라보는 현대적 관점 세계 3대 아트페어 '프리즈(Frieze)'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됩니다. 1년 만에 돌아온 프리즈는 아시아를 비롯해 전 세계 120여 개의 갤러리가 코엑스로 모이며 특별 기획 세션인 ‘Focus Asia’에서는 신진 아티스트 10인을 소개하며 죽음, 진실, 우정 및 식민지 유산을 주제로 펼칠 예정입니다 특히, 프리즈 서울 제1회 아티스트 어워드 수상자인 우한나 작가의 ‘더 그레이트 볼룸’은 행사 기간에 코엑스 천장에 설치될 예정인데요. 우한나 작가는 여성성에 대한 세심한 고민과 통념을 깨는 조각의 세계를 보여주는 작가로 인상적인 작품을 보여줍니다.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에서는 수천 년에 걸친 미술사를 바라보는 독특한 현대적 관점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추성아 큐레이터,.. 2023. 7. 12.
루이비통이 사랑한 사진작가의 전시 의문을 사진으로 표현하는 작가 '에스파스 루이비통 서울(Espace Louis Vuitton Seoul)'에서 미국의 사진작가 '신디 셔먼(Cindy Sherman)'의 전시가 진행 중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품값이 비싼 사진가 중 하나인 신디 셔먼의 이번 전시, ‘ON STAGE - PART II'는 자기 모습을 할리우드의 영화배우나 역사적 인물, 남성으로 바꾸어 촬영하며 사회적으로 규정된 여성성에 의문을 던지는 그녀의 다양한 초상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 중에는 인스타그램 필터를 활용한 셀피가 흥미로운 인상을 느끼게 합니다. 전시가 진행 중인 에스파스 루이비통 서울은 현대 건축의 거장 프랭크 게리(Frank Owen Gehry)가 설계한 곳으로, 도쿄, 뮌헨, 베이징, 오사카, 그리고 .. 2023. 7. 11.
메타(Meta)가 텍스트 기반 SNS '스레드(Threads)'를 출시했다 다시 불붙은 SNS계 전쟁 페이스북의 모기업 '메타(Meta)'가 텍스트 기반 소셜 앱 '스레드(Thread)'를 출시했습니다. 스레드는 텍스트로 실시간 소식을 공유하고 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인데요. 한 게시물당 500자까지 지원하고 외부 웹사이트 링크, 사진, 최대 5분 길이의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유저들은 추가적인 가입 절차 없이 스레드에서 같은 유저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작년 트위터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는 유료, 무료 유저가 볼 수 있는 트위터의 게시물의 수를 제한했습니다. 결국, 트위터는 일시적으로 먹통사태가 발생하였는데요. 스레드의 출시시점으로 보아, 메타가 트위터를 겨냥한 틈새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후 SNS 시장에서 '트위터 난.. 2023. 7. 6.